728x90
반응형
‘앱토즈마’, 글로벌 바이오 시장 진출 본격화
📰 뉴스 – 2025년 4월 기준
국내 제약사 **셀트리온(Celltrion)**이 개발한 **자가면역질환 치료제 ‘앱토즈마’(Aptozema)**가
**미국 식품의약국(FDA)**으로부터 품목허가 승인을 획득했습니다.
‘앱토즈마’는 류마티스관절염, 크론병 등 만성 자가면역질환 치료에 쓰이는
인터류킨 억제제 계열의 바이오 의약품입니다.
이번 승인은 미국 시장에서 셀트리온의 독자적 신약 파이프라인을 본격적으로 알리는 계기가 되었으며,
기존 바이오시밀러 중심의 사업 구조에서 혁신신약 중심 체제로의 전환을 의미합니다.
💬 글로벌 무대에서 주목받는 이유는?
✅ 단순한 ‘미국 진출’이 아니다
이번 FDA 승인은 단순히 해외 진출의 의미를 넘어
셀트리온이 독자적인 신약 개발 기업으로서 경쟁력을 인정받았다는 의미가 있어요.
특히 FDA는 전 세계 제약업계에서 가장 까다로운 허가기관 중 하나로,
그 승인을 받았다는 건 글로벌 기준을 충족하는 기술력과 안전성을 입증한 것과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.
✅ 앱토즈마의 핵심 가치
항목설명
💡 치료 타깃 | 자가면역질환 → 만성 염증성 질환 (류마티스, 크론병, 건선 등) |
🔬 작용 방식 | 면역 과반응 억제 → 삶의 질 개선 + 장기 치료에 유리 |
🌍 시장 파급력 | 미국 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시장은 연간 수십 조 원 규모 |
🏭 공급 체계 | 국내 인천 송도에 대규모 바이오 공장 보유 → 글로벌 생산 안정성 확보 |
✅ 국내 바이오 산업에 주는 시사점
- ✔️ 바이오시밀러를 넘어서 이제는 독자 개발 신약으로 승부할 수 있는 기반 마련
- ✔️ FDA 승인은 향후 유럽, 일본 등 다른 국가 규제 기관 승인에도 긍정적인 영향
- ✔️ 한국 제약사의 브랜드 이미지와 수출 역량 강화로 이어질 가능성 높음
이번 성과는 단지 한 기업의 수출이 아니라,
대한민국 바이오 산업의 신뢰도를 끌어올리는 역할을 하게 될 거야.
💬 마무리 한 줄
치료제 하나의 FDA 승인은
한 나라의 바이오 기술력 전체를 입증하는 순간이다.
셀트리온은 이제 ‘복제약의 명가’를 넘어,
글로벌 바이오 선두주자로서의 자리를 다지고 있다.
728x90
반응형
'과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00년 만에 풀린 과학 퍼즐 🧩 (0) | 2025.04.10 |
---|---|
🧬 신생아 유전체 분석으로 유전질환 조기 진단 (1) | 2025.04.09 |
🧬 면역항암제 방해 인자 발견… (0) | 2025.04.09 |
⌨️ 키보드만 쳐도 파킨슨병 진단? (1) | 2025.04.08 |
🇰🇷 한국, NATO 과학기술기구(STO) 정식 파트너로 참여 (2) | 2025.04.08 |